본문 바로가기

나눔의 글

인심(人心)은 유위(維危)하고 도심(道心)은 유미(維微) 하니 유정유일(維精維一)이라야 윤집궐중(允執厥中)이라.

人心은 惟危하고 道心은 惟微하니 惟精惟一이라야 允執厥中하리라.

인심은 유위하고 도심은 유미하니 유정유일이라야 윤집궐중하리라.

 인심은 위태롭고 도심은 은미하니,

精하게 하고 한결같이 하여야 진실로 그 中道를 잡을 수 있다.


 ‘인심은 유위하고’에서 ‘유’라는 것은 ‘오직 유’자이고, ‘위’자는 ‘위태할 위’자입니다. 그리고 ‘도심은 유미하니’에서 ‘미’자는 굉장히 드러나지 않은 ‘미미할 ‘미’ 자입니다.

윤집궐중의 ‘윤’ 자는 ‘진실로 윤’자입니다. ‘집’ 자는 ‘잡을 집’자 그리고 ‘궐’ 자는 ‘그 궐’자로서 ‘그 기(其)’자와 같습니다.


形氣에서 나온 것을 가리켜 말하면 人心이고, 義理에서 나온 것을 가리켜 말하면 道心입니다. 인심은 사사롭기는 쉽고 公하기는 어려우므로 위태롭다 한 것이고, 도심은 밝히기는 어렵고 어두워지기는 쉬우므로 은미하다 한 것입니다. 오직 정밀하게 살펴서 形氣의 사사로움에 섞이지 않게 하고, 한결같이 지켜서 의리의 바름을 순수하게 하여, 도심이 항상 주체가 되고 인심이 명령을 따르게 하면, 위태로운 인심이 편안해지고 은미한 도심이 드러나 동정어묵(動靜語黙)이 저절로 過不及의 잘못이 없게 되어 진실로 그 中道를 잡게 될 것입니다. 中은 萬中심법이며 만중심법은 천하사 경영의 심법입니다.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고할 적엔, 다만 ‘允執厥中’이라고만 말하였지만,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명할 적엔 그 所以를 미루어 자세히 전하게 됩니다.

http://cafe.naver.com/eastmant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6